농업·첨단기술의 만남 ‘스마트팜’
수조 물 활용한 ‘아쿠아포닉스’
태양광 보강한 LED 식물 재배
음악 틀어 병충해 막는 농법도
시설에 큰돈, 초기비용이 걸림돌

 

대표적인 1차산업인 농업에 첨단기술이 속속 적용되고 있다. ‘스마트팜’이 대표적이다. 농작물 재배 시설에 사물인터넷(IoT)을 적용해 온도·습도·햇빛·이산화탄소·토양 등이 알아서 조절된다. 언제 어디서나 스마트폰·PC로 재배 환경을 확인하고 관리할 수 있다.

최근 농림축산식품부는 2020년까지 시설원예 7000㏊, 축사 5750곳을 스마트팜으로 바꾸겠다고 밝혔다. 현재는 시설원예 4010㏊, 축사 790곳이 스마트팜이다. 특허청에 따르면 스마트팜 관련 특허출원 건수는 2008년 1건에 불과했지만, 지난해만 61건이 출원됐다.

대표적인 농법이 아쿠아포닉스다. 물고기를 키우는 수조의 물로 농작물을 키우는 방식이다. 수조처럼 폐쇄된 공간에서 물고기를 키우면 물고기 배설물에서 발생하는 암모니아(NH3)가 물과 만나 암모늄이온(NH4+)이 된다. 이 성분이 많이 쌓이면 물고기를 죽이는 독소로 작용한다. 하지만 수조에 미생물을 넣어 암모늄이온을 분해하면 농작물의 영양분으로 활용할 수 있다. 수조에 뿌리가 잠겨있는 농작물이 이 성분을 흡수하면 물은 깨끗해지고 별도의 비료도 필요 없다.

 

사물인터넷(IoT) 같은 첨단 기술을 적용해 생산성과 효율성을 높인 농법이 늘고 있다. 사진은 물고기를 키우는 수조의 물로 농작물을 키우는 수경재배방식인 ‘아쿠아포닉스’. [사진 경기도농업기술원]

사물인터넷(IoT) 같은 첨단 기술을 적용해 생산성과 효율성을 높인 농법이 늘고 있다. 사진은 물고기를 키우는 수조의 물로 농작물을 키우는 수경재배방식인 ‘아쿠아포닉스’. [사진 경기도농업기술원]

이미 충남도 수산연구소에서 2016년부터 상추·치커리·방울토마토 등을 금붕어와 함께 키우고 있다. 경기도농업기술원·해양수산자원연구소도 공동으로 다섯 종류의 채소를 메기와 함께 재배하고 있다.

웰스팜 등 가전 업체가 내놓은 가정용 식물 재배기도 흙 대신 물을 이용하는 수경 재배가 기본 원리다. 물고기 배설물 대신 물에 배양액을 섞어서 영양분을 대신한다. 김진영 경기도농업기술원 김진영 박사는 “비료나 농약은 전혀 쓰지 않고, 일반 재배법보다 물이나 비료 같은 자원을 아끼고 환경 오염 걱정도 덜 수 있다”고 말했다.

햇빛을 대신하는 식물생장용 LED 조명도 농작물 재배 방식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 광합성에 필요한 단파장만 남겨 햇빛이 없는 밀폐된 공간에서 태양광을 보강할 수 있는 기술이다. IoT와 만나면 빛 외에 온도·습도·이산화탄소·공기순환 등 재배 요건을 조절해 건물 안에서 농작물을 재배할 수 있다.

[그래픽=차준홍 기자 cha.junhong@joongang.co.kr]

[그래픽=차준홍 기자 cha.junhong@joongang.co.kr]

농업법인 미래원은 바질, 애플민트, 상추, 버터 헤드 레터스, 로메인 등 샐러드 채소 50여 가지를 실내 농장에서 재배하고 있다. 6단의 재배 베드(판)를 바닥부터 천장까지 차곡차곡 쌓고 각 베드에서 채소를 키운다. 흙 대신 배양액을 섞은 물을 이용하고, 햇빛은 LED 조명으로 대신한다.

농작물에 음악을 들려주는 ‘그린 음악 농법’도 눈길을 끈다. 병충해 발생을 억제하고 생산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는 것이다. 대개 동요같이 명랑한 음악이나 물소리, 새소리 등을 활용한다. 전남 강진 도암 일대에서 농사를 지어온 영동농장이 ‘그린음악쌀’을 생산하고 있다. 지난해엔 그린음악쌀로 만든 즉석밥도 나왔다.

첨단 기술을 활용한 농법은 이점이 많다. 생산성은 높이고 노동이나 병충해는 줄일 수 있다. 공간이나 날씨의 제약을 극복할 수 있고 환경오염의 피해도 줄일 수 있다. 서울대는 스마트팜 도입 시 생산량은 27.9% 증가하고 노동력이나 병충해는 각각 16%, 53.7% 감소한다는 내용의 연구보고서를 2016년 내놨다.

스마트팜은 초기 비용이 가장 큰 걸림돌이다. 예컨대 유리온실을 조성하는데 드는 시설 비용은 3.3㎡(약 1평)당 180만원 선이지만, LED 조명으로 실내 농장을 조성하려면 3.3㎡당 500만~600만원이 필요하다. 강대현 미래원 부사장은 “초기 시설만 갖추면 지속적인 기술 개발과 연중재배, 생산량 증가 등으로 유지 비용이 적게 들어 수익을 높일 수 있다”며 “환경 오염이 심해지는 상황에선 전통 농법보다 안전한 먹거리 생산법으로 활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최현주 기자 chj80@joongang.co.kr  / 출처 : 중앙일보 2018.07.03
기사바로가기 >>http://news.joins.com/article/22766846